Cloud-native (75)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Docker system prune Purpose Delete old data that is not used in docker docker system prune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commandline/system_prune/ Remove all unused containers, networks, images (both dangling and unreferenced), and optionally, volumes. option -filter : Provide filter values f : Do not prompt for confirmation a : Remove all unused images not just dangling ones until=120h : until () - only.. [Kubernetes]쿠버네티스의 핵심 컴포넌트 쿠버네티스에서 각 컴포넌트가 자율적으로 움직인다. 각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를 API를 통해 호출한다. 쿠버네티스 컴포넌트는 3 가지로 구분한다. 클러스터를 관리하는데 필수인 마스터용 컴포넌트 노드용 컴포넌트 필수는 아니지만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애드온용 컴포넌트 마스터 컴포넌트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 여러 대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안의 노드의 리소스 사용 상황을 확인하고 컨테이너를 가동할 노드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etcd라는 분산 키 밸류 스토어(KVS)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의 구성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에는 클러스터에 관한 모든 설정 정보가 들어 있다. etcd - 데이터 스토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을 유지하는 분산 KVS. 데이터를 Key-Value형으로 관리한다... [Kubernetes]쿠버네티스의 핵심(Immutable, Declarative, Self healing 지향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수작업을 줄인다. 시스템을 셀프서비스로 운용한다. Immutable Infrastructure 한번 구축한 인프라는 변경할 필요가 없이 파기하고 새로운 것을 구축해버리면 되므로 지금까지 부하가 컸던 인프라의 변경 이력을 관리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리고 인프라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 움직이고 있는 인프라의 상태를 관리하면 되도록 바뀌어 왔다. 이러한 인프라를 Immutable Infrastructure라고 한다. 선언적 설정(Declarative) 기존의 시스템 변경 이력을 기록하는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선언적 설정에서는 시스템이 본래 되어 있어야 할 모습을 정의. 클러스터 안에서 몇 개 가동할지, 최소로 필요로 하는 CPU나 메모.. 이전 1 ···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