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w to

(14)
[GCP]How to use Cloud CDN 사전 지식 Concept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CDN을 통해 온라인 상의 대용량 콘텐츠를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전송하도록 한다. 주로 ISP(Internet Services Provider)의 CDN 서버에 콘텐츠를 분산시키고 유저의 네트워크 경로상 가장 가까운 곳의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도록 하여 트래픽이 특정 서버에 집중되지 않고 각 지역 서버로 분산 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동작 원리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End User)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CDN 서버로 사용자를 접속시키게 되며, CDN서버는 요청된 파일의 _캐싱 콘텐츠_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서버가 파일을 찾는데 실패했거나 콘텐츠..
[GCP]How to Create Managed Instance Group (MIG) Concept Compute Engine은 관리형 및 비관리형이라는 두 가지 VM 인스턴스 그룹을 제공합니다. 관리형 인스턴스 그룹(MIG)을 사용하면 동일한 여러 VM에서 앱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자동 확장, 자동 복구, 리전(멀티 영역) 배포, 자동 업데이트 등의 자동화된 MIG 서비스를 활용하여 워크로드의 확장성 및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관리형 인스턴스 그룹을 사용하면 직접 관리하는 여러 VM에서 부하 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update type for MIG PROACTIVE 모든 인스턴스 또는 일부 인스턴스에 새 구성을 자동으로 원격 설치 OPPORTUNISTIC 자동 업데이트가 너무 중단되거나 업데이트를 더 구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함 특정 인스턴스를 선택적으로 업데이트 가능 긴급..
[GCP]How to Backup/Restore/Export/Import in Cloud SQL 사전 지식 백업 방법 필요에 따라 아래 내용을 주기적으로 백업한다. 특정 DB 백업 테이블 백업 모든 데이터 베이스 백업 백업 VS 내보내기 보관정책 백업 Cloud SQL에서 관리되며 Cloud SQL 인스턴스와 별도로 저장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포괄 내보내기 Cloud Storage에서 관리 특정 콘텐츠 선택 가능(table, database) SQL Dump 전체 인스턴스 인스턴스 안의 1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CSV SELECT * FROM table쿼리를 이용하여 내보낼 데이터 지정 리전 및 영역 가용성 리전 (선택 후 영역 선택) 영역 가용성 단일 영역: 서비스 중단이 발생할 경우 장애 조치가 없음 여러 영역: 선택한 리전 내의 다른 영역으로 자동으로 장애 조치 (product) 저장 용량 스토..
[Kubernetes]Understand how to use helm chart in Kubernetes Purpose To understand How to use helm chart in Kubernetes Helm chart directory structure wordpress/ Chart.yaml # A YAML file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t LICENSE # OPTIONAL: A plain text file containing the license for the chart README.md # OPTIONAL: A human-readable README file values.yaml # The default configuration values for this chart values.schema.json # OPTIONAL: A JSON Schema f..
[Kubernetes]How to create pv and pvc in kubernetes 아래 템플릿을 사용하여 hostpath pv,pvc 를 생성할 수 있다. PersistentVolume Template pv-hostpath.yaml apiVersion: v1 kind: PersistentVolume metadata: name: pv-hostpath spec: capacity: storage: 2Gi #1 스토리지 용량 volumeMode: Filesystem #2 accessModes: #3 - ReadWriteOnce storageClassName: manual #4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 Delete #5 hostPath: #6 path: /data/storage/test-pv [dewble@instance-1 volume]$ kubectl -f a..
[Kubernetes]How to use Kubernetes Headless service .spec.clusterIP: None 으로 설정하면 클러스터 IP가 없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이런 서비스를 'headless' 서비스라고 한다. 로드 밸런싱이 필요 없거나 단일 서비스 IP가 필요 없을 때 사용한다. .spec.selector 를 설정하면 쿠버네티스 API로 확인할 수 있는 엔드포인트가 만들어진다. selector가 없으면 Endpoints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서비스와 연결된 파드를 직접 가리키는 DNS A 레코드도 만들어 진다. 단, selector가 없더라도 DNS 시스템은 ExternalName 타입의 서비스에 사용할 CNAME레코드가 만들어진다. Example - headless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eadles..
[Kubernetes]How to use Kubernetes ExternalName 값과 함께 CNAME 레코드를 리턴하여, 서비스를 externalName 필드의 콘텐츠 (예:foo.bar.example.com )에 매핑한다. 어떤 종류의 프록시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 → 외부 서비스를 쿠버네티스 내부에서 호출하고자 할때 사용할 수 있다. 참고: ExternalName 유형을 사용하려면 kube-dns 버전 1.7 또는 CoreDNS 버전 1.7 이상이 필요하다. Example - ExternalName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externalname-service spec: type: ExternalName # externalName: google.com #연결하려는 외부 도메인 값을 설정 .spec.externalName: g..
[Kubernetes]How to use Kubernetes LoadBalancer 클라우드 공급자의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외부 로드 밸런서가 라우팅는 NodePort와 ClusterIP 서비스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와 파드를 연결한 후 로드밸런서의 IP를 이용해 클러스터 외부에서 파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EXTERNAL-IP 항목에 로드밸런서 IP를 표시한다. 이 IP를 사용해 클러스터 외부에서 파드에 접근한다. 실제 요청 service → kube-proxy → iptables 생성(실체는 iptables) Example - LoadBalancer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loadbalancer-service spec: type: LoadBalancer sele..